매거진

신생아 황달, 왜 생기는걸까요?🧠 원인 & 증상!

닥터아이22.10.11 23:21

생애 첫 주 동안 만삭아의 60%, 미숙아의 80%에게서 발견된다는 이 병! 오늘은 바로 신생아 '황달'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황달이란?🧐 황달은 빌리루빈이라고 불리는 담즙색소가 몸에 필요 이상으로 과다하게 쌓여서 생겨요. 황달이 있는 아기의 피부나 눈동자는 노란색을 띄어요. 황달이 심해질수록 얼굴 👉 목 👉 가슴 👉 배 👉 다리 👉 손과 발 순서로 노랗게 나타나요. ❓신생아 황달이 생기는 원인☠️ 신생아는 빌리루빈을 분해하는 간이 아직 미숙하거나 태아 적혈구에서 빌리루빈이 너무 많이 생성되어서 황달이 흔하게 발견된다고 해요. 모유성 황달이나 생리성 황달이라면 대개 생후 3~5일이 지나면 저절로 호전돼요. 모유를 더 자주 많이 먹이면 변💩을 통해 빌리루빈이 배출되어 증상이 나아지는 데에 도움돼요. 만약 황달이 생후 1주 후에 나타났다면 모유 수유를 잠시 중단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니 꼭 의사의 상담을 받아봐요. ❓신생아 황달, 얼마나 위험한가요? 신생아 황달은 큰 문제 없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으니 너무 걱정하진 않아도 돼요. 그러나 황달이 심해지면 위험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어요. 빌리루빈의 수치에 따라 황달의 심각도를 알 수 있는데요. 황달 수치는 병원에서 아기 발 뒤꿈치 채혈로 검사해요. 임신 35주 후에 태어난 신생아를 기준으로 생후 48시간 내에 황달 수치가 ✔️8.5 미만이면 저위험군 ✔️11 이상이면 중증 위험군 ✔️13 이상이면 고위험군에 속해요. 황달이 내려온 위치로도 수치를 가늠할 수 있지만 정확한 수치를 아는 것이 필요해요. 생후 72시간 내에 17 이상인 경우나 시간에 상관 없이 수치가 20을 넘는 경우에도 고위험군으로 분류돼요. 이외에도 생후 1주가 지났는데도 황달이 점점 심해지거나, 생후 2주가 지나도 증상에 호전이 없다면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아요. 황달로 병원에 방문할 때에는 ✅ 아이의 컨디션과 ✅ 수유량, ✅ 배변양을 체크해서 가면 도움이 돼요.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조기에 치료할수록 더 빠르게 호전되고, 합병증이 생길 확률도 줄어드니 병원🏥에 꼭 방문해보도록 해요!

00
아이 건강관리, 닥터아이에서 한 번에 확인하세요!
applegoogle
(주) 프릭스 헬스케어
유선번호02-2135-1288
파트너 문의md@friggs.co.kr
기업 제휴 문의contact@friggs.co.kr
대표최민욱
사업자 등록번호146-87-01795
사업장 주소서울시 중구 을지로 66
통신판매업신고제 2021-서울영등포-1262호

비대면 진료 서비스 내 의사 선생님은 대기자 순을 기반으로 노출됩니다

Ⓒ 2022 FRIGGS HEALTHCARE ALL RIGHTS RESERVED.